정보나눔

부모칼럼

관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송채은 등록일 06-08-31 00:00 조회수 6,503 영역 가족

본문

  • 저자 :
  • 약력 :

  • <관심>

    김형수 (서울대학교 아동, 청소년상담연구실)


    오늘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하는 내용은 ‘관심’에 대한 것입니다. 사람이 살다보면 이것저것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만, 오늘 얘기는 사람 관계 특히, 부모-자녀 관계에 초점을 둘까 합니다. 자녀에 대한 부모님의 관심에 대해 더 이야기하기 전에 어떤 학자가 한 얘기를 먼저 하겠습니다.

    어떤 유명한 학자가 사람이 살면서 자기실현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적인 욕구가 단계적으로 미리 충족되어야 한다는 이론을 말하였습니다. 심리학 또는 교육학을 공부한 사람이면 한 번쯤 들어보는 메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이 그것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람은 누구나 살면서 5-7가지 정도의 크고 중요한 욕구를 갖게 되는데, 제일 아래쪽에 깔려 있는 욕구부터 순서대로 충족되면, 점점 더 고상한 욕구를 갖게 된다는 이론입니다.

    제일 고상한 욕구는 자기실현의 욕구인데, 거기에 도달하기 위해서 꼭 거치게 되는 아동· 청소년기의 욕구 경험에 사랑과 관심의 욕구가 있다고 말합니다. 즉, 아동과 청소년들은 주변 사람들 특히, 가족, 친구, 교사들로부터 관심과 사랑을 받고 싶은 간절한 마음이 있으며 그 마음에 흡족한 경험을 하면 자기실현이라는 고상한 욕구를 갖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 고상한 욕구에는 자신의 재능을 발현하는 것, 공부를 잘하는 것, 성숙하게 사람들과 잘 지내는 것, 스스로 책임감 있게 생활하는 것 등과 같이 부모님을 기쁘게 할 만한 것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한데, 왜 사랑과 관심이 함께 필요하다고 하였을까요? 메슬로우는 사랑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한 것일까요? 사랑하면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 아닐까요? 관심이 없이 사랑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 그런 거였을 까요? 저는 이 이론을 공부를 하고 한 참 후에 문득 위와 같은 질문을 갖게 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직접 여러 부모님들과 상담을 하게 되면서, 사랑만으로는 부족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부모님들이 자녀 문제로 함께 상담을 오시면, 제가 부모님들과만 따로 얘기를 하는 시간을 갖곤 하는데, 그때 자주 드리는 질문에 이런 것이 있습니다. “어머니(대개는 어머님이 자녀를 데리고 오심)보시기에는 00이가 어째서 그런 것 같으세요?” 그러면 기다렸다는 듯이 얼른 자초지종을 쫙 얘기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제가 질문을 다시 합니다. “어머니 생각에 이 아이가 이래서 그런거지... 그렇게 마음에 받아들여지세요.” 대개는 두 번째나 세 번째 쯤 비슷한 질문을 하게 되면, 의외로 “솔직히 잘 모르겠어요. 내 자식이지만 내가 알던 그 아이가 아닌 것 같아요.” 그렇게 말씀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런 경험을 통해서 저는 부모님들이 아이가 문제가 있다고는 느끼지만, 그리고 아이를 사랑은 하지만, 어째서 그런지 속까지 이해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평소에는 부모님들이 대개 자녀 문제를 진단하고 그 원인을 잘 알고 있는 듯이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마도 지금까지 키워온 자녀에 대해 부모로써 모를 만한 것이 없다는 생각을 은연중에 하고 있어서 그런 것은 아닐까 생각됩니다.

    역설적이지만, 부모님이 자녀에 대해 단정 짓는 그 순간부터 자녀에 대해 더 알고자 하는 ‘관심’은 사라지고 맹목적인 ‘사랑’만이 남게 되는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철학자 니체는 “해명된 것은 더 이상 우리의 관심을 끌지 못한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자녀에 대해 다 안다고 생각한다면 ‘관심’을 갖기 힘듭니다. 그래서 상담에서는 가지고 있는 정보를 잠시 보류하고, 내담자에게만 관심을 집중하여 ‘알고자 하는 기술’(Not-Knowing Skill)을 사용합니다. 사랑만으로는 외바퀴 수레와 같아, 좌우로 쓰러질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저자 프로필

    이력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박사 수료

    경력 - 현)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특별상담원
    호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학과, 유아교육학과 및 아동학과 출강
    - 전)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연구원